홈
전시
특별전시
특별전시
특별전시
조선왕실의 가마
-
전시기간
2005/12/30~2006/03/31
-
전시장소
기획전시실
특별전을 열며
예로부터 임금이나 왕실 귀족의 행차는 흔한 일이 아니었습니다. 또한 행차를 하게 되는 경우에는 행차의 격식을 갖춤으로써 백성들에게 또는 국내외 빈객들에게 왕족의 품위를 지켜야 했습니다.
행차의 품격을 지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임금이 타고 나서는 가마가 위풍당당하고 아름다워야 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가마를 이끄는 행렬의 차림새도 마찬가지였습니다. 그것은 왕실 권위의 상징이요, 국부의 상징이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삼국시대나 통일신라시대에도 이미 왕실의 가마는 최상급의 공예품으로 제작되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고려시대에는 왕실의 가마를 중국에서 선사해 주기도 하였습니다.
이런 배경에서 보더라도 우리의 역대 왕조는 왕실 가마의 제작에 상당히 심혈을 기울였다고 생각됩니다. 비록 과거의 왕실 가마는 기록이나 그림으로 남아 있으나 조선시대의 왕실 가마는 지금까지 전해오는 것이 있고 그 종류도 매우 다양하기 때문입니다.
국립고궁박물관에는 왕실의 권위와 위엄을 상징하는 많은 문화재를 전시하고 있습니다만 이번 특별전을 통하여 그간 공개되지 않았던 조선시대 왕실의 가마와 행차시 장엄을 위한 의장기를 선별하여 새로이 선보이게 되었습니다. 부디 조선왕실 가마의 기품과 아름다움을 한껏 감상하시고 우리의 궁중 문화재의 수준 높은 예술성을 느껴 보시기 바라마지 않습니다.
연 輦
조선시대|나무와 비단
140.0×140.0×260.0cm 가마채 600.0cm 유소 126.0cm
Yeon, Royal Palanquin for the King
Joseon Dynasty|Wood and Silk
140.0×140.0×260.0cm Poles 600.0cm Tassels 126.0cm
조선시대에 왕이 탔던 가마이다. 지붕, 몸체, 가마채로 이루어져 있는데 전체적으로 가옥의 모양을 따랐다. 몸체 네 모서리에 용을 그린 둥근 기둥을 세우고 다시 둥근 기둥 사이에 각기둥을 세운 후 윗부분은 비워 두고 아랫부분에만 난간을 돌렸다. 몸체에 주칠을 한 후 난간 부분에 금색으로 백택白澤, 기린麒麟 등 다양한 상상의 동물들을 그려 넣고, 쇠에 입사入絲한 거멀장식으로 필요한 부분을 보강하였다. 네 면에 주렴을 드리우고 다시 휘장을 내려,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였다. 지붕 네 모서리 봉황 장식에 고리를 달아 유소流蘇를 고정시켜 내려뜨렸다. 내부에는 주칠한 의자[교의交椅]에 발판[각답脚踏]을 갖추어 어좌를 만들었을 것이나 지금은 남아 있지 않다. 가마채의 끝 부분에는 용머리 장식을 끼워 마감하였다.
교룡기 蛟龍旗
조선시대|나무와 비단
140.0×140.0×260.0cm 가마채 600.0cm 유소 126.0cm
Yeon, Royal Palanquin for the King
Joseon Dynasty|Wood and Silk
140.0×140.0×260.0cm Poles 600.0cm Tassels 126.0cm
조선시대에 왕이 탔던 가마이다. 지붕, 몸체, 가마채로 이루어져 있는데 전체적으로 가옥의 모양을 따랐다. 몸체 네 모서리에 용을 그린 둥근 기둥을 세우고 다시 둥근 기둥 사이에 각기둥을 세운 후 윗부분은 비워 두고 아랫부분에만 난간을 돌렸다. 몸체에 주칠을 한 후 난간 부분에 금색으로 백택白澤, 기린麒麟 등 다양한 상상의 동물들을 그려 넣고, 쇠에 입사入絲한 거멀장식으로 필요한 부분을 보강하였다. 네 면에 주렴을 드리우고 다시 휘장을 내려,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였다. 지붕 네 모서리 봉황 장식에 고리를 달아 유소流蘇를 고정시켜 내려뜨렸다. 내부에는 주칠한 의자[교의交椅]에 발판[각답脚踏]을 갖추어 어좌를 만들었을 것이나 지금은 남아 있지 않다. 가마채의 끝 부분에는 용머리 장식을 끼워 마감하였다.
북두칠성기 北斗七星旗
대한제국 |紋緞|143.5×129.0cm 화염각 22.5cm
Bukduchilseonggi, Great Dipper Flag
Korean Empire|Patterned Silk| 143.5×129.0cm Flame Border 22.5cm
대장이 장수를 부르거나 호령할 때 사용한 군기로 북두칠성과 구름 문양을 그렸다. 임진왜란 후 5군영에서 방위에 따라 색을 달리하여 사용하였다.
관련정보